
sort() 메소드 - 배열의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정렬한 후 그 배열을 반환. const months = ['March', 'Jan', 'Feb', 'Dec']; months.sort(); console.log(months); //expected output: Array ["Dec", "Feb", "Jan", "March"] const array1 = [1, 30, 4, 21, 100000]; array1.sort(); console.log(array1); //expected output: Array [1, 100000, 21, 30, 4]

push()메소드 - 배열의 끝에 하나 이상의 요소를 추가하고, 배열의 새로운 길이를 반환. const animals = ['pigs', 'goats', 'sheep']; const count = animals.push('cows'); console.log(count); //expected output: 4 console.log(animals); //expected output:Array ["pigs", "goats", "sheep", "cows"] animals.push('chickens', 'cats', 'dogs'); console.log(animals); //expected output: Array {"pigs", "goats", "sheep", "cows", "chickens", "cats", ..

variable (changing often) 숫자, 문자열, 함수.. 어떤 것이라도 품을 수 있는 그릇과 같음 그 값 자체가 아닌, 담는 용기(container)일뿐 포함된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종류 : 숫자 number var myAge = 11; 문자열 string var myName = 'Jane'; 불리언 boolean var neverSeenTheRain = false; 배열 array var myNameArray = ['Alice', 'Dan', 'Anna', 'Larry'] 객체 object var dog = {name: 'Henry', breed : 'Welsh Corgi'}; 지정되지 않은 타입

for문 반복횟수가 정해진 경우 주로 배열과 함께 많이 사용 { for(let i=1; 1<=5; i++){ document.write(i + ".실행되었습니다."); } } while문 무한루프나 특정 조건에 만족할 때까지 반복해야 하는 경우 주로 파일을 읽고 쓰기에 많이 사용 { let num = 1; while(num <= 5){ document.write(num + ".실행되었습니다."); num++; } } while문을 이용해서 1부터 100출력하기 { let num = 1; while(num <= 100){ console.log(num); num++; } } 반복적으로 출력시켜야 하는 부분은 for문이나 while문으로 사용하는게 좋다.